본문 바로가기
지식

추석 한가위 의미, 뜻, 한자, 유래, 풍습

by 독거노인40 2023. 9. 17.

추석이란?

추석이란 음력 팔월 보름 (음력 8월 15일)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한가위 한자

한가위란 ‘한’은 크다는 말이고 ‘가위’는 가운데란 순수 한글말입니다.

 

추석 한자

한가위를 추석 혹은 중추절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의 일로 이는 한자 사용이 성행했을 때 중추(中秋)의 추(秋) 자와 월석(月夕)의 석(夕) 자를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으로 생각된다.

 

 

추석 풍습

추석에는 한복을 입고 햅쌀로 빚은 송편과 여러 가지 햇과일·토란국 등 음식들을 장만하여 추수를 감사하는 차례를 지낸다. 또한 맛있는 음식을 이웃과 다정하게 나누어 먹으며 즐거운 하루를 보낸다. 아무리 가난하고 어렵게 사는 사람도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즐겁게 보냈으므로 "1년 열두 달 365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도 생겨났다. 온갖 곡식이 무르익는 결실의 계절로서, 가장 밝은 달밤이 들어 있으며,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뜻으로 성묘를 드린다.

고 려시대에는 왕도 추석에 각종 연회를 베풀고 달구경을 했는데, 예종 때 왕이 문신들을 거느리고 중광전에서 달구경을 하고 영월시(詠月詩)를 지으니 문신들이 이에 화답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충혜왕은 내탕고(內帑庫)에서 오종포(五綜布) 100 필을 내어 신궁(新宮)에서 중추에 연회를 베풀었다고 한다. 또한 우왕은 중추에 6도의 창우(倡優, 광대)를 불러 동강에서 각종 놀이를 베풀었는데, 국고로 이 놀이의 비용을 써서 재정이 탕진될 정도였다. 특히 달구경(看月·賞月)은 추석의 시제(詩題)로도 으뜸이다.

소싸움·길쌈·강강술래·달맞이 등을 한다. 농악을 즐기는가 하면 마을 주민들끼리 편을 가르거나 다른 마을과 줄다리기를 한다. 잔디밭이나 모래밭에서는 씨름판이 벌어지는데, 이긴 사람은 장사(壯士)라 하여 송아지·쌀·광목 등을 준다. 전라남도 서해안 지방에서는 추석날 달이 뜰 무렵 부녀자들이 공터에 모여 강강술래를 하였으며, 닭싸움·소싸움도 즐겼다고 한다. 추석은 추수기를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하고, 조상의 은덕을 기리며 제사를 지내고, 이웃과 더불어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한국 최대의 명절이다.

강강술래
강강술래
씨름
씨름
차례상
차례상

 

추석 유래

 

 

지금부터 2천 여 년 전 신라의 유리왕은 㡧⸃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 공주 두 분이 각각 양편의 주장을 맡아 7월 16일부터 8월 15일 추석날까지 한 달간 길 쌈 즉 옷감을 짜서 한 달 동안 양편의 성적을 심사하여 승부를 가렸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고 온 마을의 백성들이 잔 치를 벌여 춤과 노래로 즐기는 큰 행사를 열었으며, 달 밝은 밤을 새워가며 “강강술래”와 “회소곡”을 부르고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것을 그때 말로“가배”라고 합니다. 가배절은 음식을 차리고 의상을 갖추어 명절을 지키고 달빛을 즐기는 날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 날은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여 조상을 추모하였습니다. 예부터 조상님 께 제사를 올릴 때는 그 집안의 가풍과 그 지방의 풍습에 따라 그 해에 나온 햇곡 식이나 고인이 평소에 즐겨 드시던 음식을 올렸으니 집집마다 제사상에 오른 음식 이 다를 수밖에 없는데, 그중에서도 세 가지만큼은 우리 민족이 대를 이어 상에 올 리니 그것은 바로 밤, 대추, 감입니다.

 

 

복날[초복, 중복, 말복] 유래 의미 뜻 어원

초복 여름에 더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인 삼복(三伏)에 들어서는 첫 복일이다. 초복(初伏)은 하지를 기준으로 세 번째 경일(庚日)에 든다. 삼복에는 그 외에도 중복(中伏)과 말복(末伏)이 있다

history40.tistory.com

 

7월 17일 제헌절(制憲節) 유래, 공휴일, 뜻,의미, 태극기

제헌절(制憲節) 한문 뜻 制 : 절제할 제 憲 : 법 헌 節 : 마디 절 제헌절 유래 제헌절은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5번의 국경일중 하나 입니다. 대한민국 헌법이 1984년 7월

history40.tistory.com

 

반응형

댓글